김수로왕비의 혼인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04:43
본문
Download : 김수로왕비의 혼인길.hwp
1 , 김수로왕비의 혼인길인문사회레포트 ,
저자가 1985년 처음으로 아요디아를 방문했을 때 도시의 인상은 수천 명의 힌두교도들이 인도 전역에서 참배를 와서 많은 사람들로 북적대는 곳이었다. 그러므로 가야와 물고기와의 관계성에 마주향하여 명확한 확신을 갖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김수로 왕릉 뒤 편 신어산의 신어사(神魚寺)에서도 두 마리의 물고기 무늬가 있으며, 허황옥이 왔다고 전하는 인도의 아유타, 태국의 아유타, china 양자강 유역의 보주(普州: 지금의 사천성 안악현)에서도 두 마리의 물고기 무늬를 발견하였다고 한다.
국문학의 이해라는 과정을 수강한 후에 수업 중에 인상깊었던 내용과 관계된 `김수로왕비의 혼인길`이란 개정판을 읽고 쓴 독후감입니다. 허 황후는 보주태후로 기록되어 있는데, 저자가 가보니, 이곳엔 지금도 허씨들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고 한다.
김수로왕비의 혼인길
Download : 김수로왕비의 혼인길.hwp( 12 )
레포트/인문사회
1
다. 뿐만 아니라 아요디아의 시내를 관통하여 흐르고 있는 사라유강에는 멀리서 온 참배객들이 강물에 들어가 몸을 씻고 머리를 감고 있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다. 저자가 어렵게 보주를 china의 지명에서 발견한 것과, 그 곳이 허씨의 집성촌이라는 사실을 발견한 부분에서는 정말 감동적이었다. 결국 인도에서 망명한 집단인 파인들은 한족의 학정에 반란을 자주 일으키는데 그 중 주동자가 허씨 세력이었으며 서기 47년 반란에 실패, 강하로 강제 이주당했다가 또다시 양자강을 따라 …(省略)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국문학의 이해라는 과정을 수강한 후에 수업 중에 인상깊었던 내용과 관계된 `김수로왕비의 혼인길`이란 개정판을 읽고 쓴 독후감입니다. 즉 아요디아는 기원전 186년에 숭가왕조가 도읍을 정하고 있던 곳으로 그 후 서북쪽의 대월씨가 침입, 왕조가 남하하는 바람에 무정부 상태에 있었다는 것이 저자의 說明(설명) 이다. 따라서 당시 주민들 중 상당수가 집단이주를했는데 그 중 일파가 사천의 가릉강 유역에 정착했다는 것이다. 마주보는 물고기 두 마리는 김해 수로왕릉 정문에 그려져 있는 쌍어문과 똑같은 모양이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언어학자 강길운 교수의 `가야어와 드라비다어의 비교 I`이라는 논문에서 가락(Karak)은 구(舊) 드라비다어로, 물고기를 뜻하는 것이고, 가야(Kaya)는 신(新) 드라비다어로 물고기라는 뜻을 알았다고 한다. 한국에서 간 저자의 눈을 놀라게 한 것은 시내의 사원마다 대문 정면에 물고기 두 마리가 마주보고 있는 그림이 새겨져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