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의 기초 -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와인과 아이스와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4:55
본문
Download : 와인의 기초 - 보트리티스 시네리아(.hwp
이 포도는 단지 그냥 변질하거나 질병이 있는 것이 아니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라는 ‘귀부병(노블롯-noble rot)’으로 그레이 롯(Grey rot)이라고 불리는 포도가 가지는 독특한 곰팡이로 사람의 몸에 이로운 영향을 주게 된다 곰팡이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겐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지만 페니실린처럼 유익한 곰팡이가 있듯이 와인에도 곰팡이가 유익한 역할을 할 때가 있다.
프랑스산 소테르네(Sauternes)
순서
샤또 디껨(Chateau dYquem)은 너무 좋기 때문에 유일하게 그랑 프리미어 끄뤼(Grand Premier Cru - 특등급) 품질등급으로 분류 된다.
-디저트 와인의 한 종류인 보트리티스-시네리아(Botrytis cinerea)와인은 ‘롯 (The rot - 변질된)’의 영향을 받은 포도로 와인을 만든다. 이러한 이유로 보트리티스-시네리아 와인은 대체적으로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 앞서 언급한 내용처럼 다른 포도에 비해 수확량도 적고 인력이나 시간적인 면에서 소비가 많고 포도의 수분도 많이 증발되었기 때문에 양도 매우 적다. 다른 소테르네들은 프리미어 끄뤼 (Premier Cru-일등급) 혹은 듀시메 끄뤼(deuxiemes crus - 이등급)로 분류 된다. 바로 ‘노블 롯(noble rot)’, 학명으로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라고 부르는 곰팡이로 최고급 스위트 와인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소테르네는 샤또 디껨(Chateau dYquem)으로 가치있는 포도주 한 잔을 만들기 위하여 포도나무 한 그루가 쓰이게 되는 이 와인은 병입 하기 전에 3-5년을 베럴에서 숙성시킨다. 이 포도는 단지 그냥 변질하거나 질병이 있는 것이 아니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라는 ‘귀부병(노블롯-noble rot)’으로 그레이 롯(Grey rot)이라고 불리는 포도가 가지는 독특한 곰팡이로 사람의 몸에 이로운 영향을 주게 된다. 바로 ‘노블 롯(noble rot)’, 학명으로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라고 부르는 곰팡이로 최고급 스위트 와인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설명
나라별 보트리티스-시네리아 와인
와인의 기초 -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와인과 아이스와인
Download : 와인의 기초 - 보트리티스 시네리아(.hwp( 79 )
와인의 기초,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와인,아이스와인
좋지않은 날씨로 인해 보트리티스는 보통 수확기를 훨씬 지나서 포도들을 수확하게 되는데 아마도 12월 정도가 될 것이다. 곰팡이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겐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지만 페니실린처럼 유익한 곰팡이가 있듯이 와인에도 곰팡이가 유익한 역할을 할 때가 있다.
위 그림과 같이 포도 전체가 곰팡이의 影響을 받는 것이 아니므로 수시로 포도밭에 나가서 일일이 노블 롯의 진행 과정을 체크해 곰팡이의 影響을 받은 포도알만 골라서 수확한다. 소테르네는 대체적으로 세미용 80% 와 소비뇽 블랑 20% 의 포도품종으로 만들어 진다. 많은 양조장은 프랑스식 소테르네를 만들기 위해 ‘늦은 수확기’ 와인을 생산하게 되고, 소테르네에는 소비뇽블랑과 세미용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있는 반면 늦게 수확된 포도품종으로 리즐링 혹은 게뷰르츠트레미너에서도 이와 같은 방식을 발견할 수있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이러한 노블 롯(noble rot)의 影響을 받은 포도는 보통 10월~11월 쯤 수확이 이루어 지지만
-디저트 와인의 한 종류인 보트리티스-시네리아(Botrytis cinerea)와인은 ‘롯 (The rot - 변질된)’의 영향을 받은 포도로 와인을 만든다. 게다가 심지어는 병입 후에도 적어도 20년 이후까지도 마실 수 있으며 시간이 갈수록 조금씩 점점 더 좋아져 100년 이후에도 마실 수 도 있따 이렇게 되면 무수한 다양한 향기를 느낄 수 있게 되고 풍부한 맛과 함께 달콤하면서도 복잡 미묘한 와인의 맛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