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상과 노장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11:51
본문
Download : 유가사상과 노장사상.hwp
ꡕ 고했는데 이 말은 재물이 목적이 아니라 사람다운 …(skip)
유가사상과 노장사상
순서
설명
유가사상과 노장사상에 대한 글입니다.
맹자도 이익만을 추구하는 폐단을 지적하며 ꡔ신하된 자가 이익을 생각하여 임금을 섬기고 자식된 자가 이익을 생각하여 부모를 섬기며 아우 된 자가 이익을 생각하여 형을 섬긴다면 이는 임금과 신하, 아비와 자식, 형과 아우가 마침내 인의를 저버리고 이익을 따져 소로 대하는 것이니 이렇게 하고서도 망하지 않은 자는 있지 않았다.ꡕ 고하여 자신의 사사로운 이익을 추구하는 욕구를 부정하고 있다 그럼 유가는 욕구 자체를 부정한 것인가? 유가는 욕구 자체를 부정하기보다는 욕구를 이루는 방법의 문제를 중시하였다.
,인문사회,레포트






유가사상과 노장사상에 대한 글입니다. 욕구를 이루는 정당한 방법이란 무엇이냐? 공자는 ꡔ사람다운 사람은 재물로써 몸을 일으키고 사람답지 못한 사람은 몸으로써 재물을 일으킨다. 유가가 본 인간의 도덕적 본질을 가로막는 것은 욕심이다.유가사상과노장사상의 , 유가사상과 노장사상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유가사상과노장사상의
다.ꡕ 고하였다. 이는 군자는 통치 계급을 가리키는 말이고 덕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발전하였고 소인은 피지배 계급을 가리키는 말에서 덕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발전하였으며 공자는 소인의 소인 됨을 이의 추구에 보았다. 즉 이의 추구가 좀더 풍요로운 삶을 살기 위한 것이라면 의의 추구는 인간의 생존에 우선하는 최고 가치였던 것이다.
Download : 유가사상과 노장사상.hwp( 44 )
1. 서 론
2. 본 론
(1) 욕심으로부터의 해방
(2) 계급 질서로부터의 해방
(3) 이데올로기로부터의 해방
3. 결 론
2. 본 론
(1) 욕심으로부터의 해방
유가는 원래 도덕적 인간이 철학의 중심 주제이다. 그럼 이를 대신할 것은 무엇인가를 보면 이는 바로 군자가 추구하는 의라고 본다. 이에 대하여 공자는 언급이 별로 없는데 공자는 성인을 추구하였으며 성인은 이와 무관한 사람이었던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공자는 소인, 군자, 인인, 성인의 4단계를 나누었는데 ꡔ군자는 옳고 그름을 따지는 일에 밝고 소인은 이로우냐 해로우냐를 따지는 일에 밝다 ꡕ 라고 하였다. 욕에 대하여는 공자는 ꡔ사람다운 사람은 자기가 나서고 싶을 때 남을 먼저 내세워 주고 자기가 도달하고 싶을 때 남을 먼저 이르게 한다.